728x90
SMALL
일단 linux ftp서버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에 해당 계정이 생성되어있어야한다
1.FTP계정 생성
- linux에 유저를 생성
useradd testuser
그러면 뭐 아무 로그도 안 뜬다
이거 계정생성할 때 nologin뭐 어쩌고 이런 명령어 절대 넣지말길
그건 로그인을 차단하는 명령어인데 vsftpd가 무시한다고 해서 기본으로 넣어놨는데
centos7인데 vsftpd가 저걸 무시못해서 몇시간을 삽질했다..
- 잘 생성됐는지 passwd를 확인해주자
tail /etc/passwd
testuser:x:1003:1003::/var/ftp:/bin/bash
저렇게 passwd파일에 testuser가 뜬다면 잘 생성된거다
그리고 passwd의 루트디렉토리를 /var/ftp로 등록해준다
그럼 맨 처음 시작했을 떄 사용자가 접속하는 디렉토리가 /var/ftp여기가 된다
- 해당 유저의 비밀번호 등록
passwd testuser
해당명령어로 비밀번호를 등록해준다
2. 사용자 계정별 루트디렉토리 설정
나는 nas point에 사용자가 접근해서 파일을 업/다운로드 하길 원하기 때문에 루트디렉토리를 바꿔줘야했다
passwd에서 설정을 해도되지만 시스템설정을 건드는거라 리스크가 커서 vsftpd상에서 설정을 해줬다
- vsftpd_user_conf 폴더 생성
mkdir vsftpd_user_conf
- testuser 파일 생성
vi testuser
- 해당 파일에 local_root 설정
해당 계정이 ftp서버에 처음 접속했을 때 들어가는 경로를 정해준다
local_root=/data/test
- /etc/vsftpd/vsftpd.conf설정에 해당 디렉토리를 설정해준다
user_config_dir=/etc/vsftpd/vsftpd_user_conf
만약 여러개의 계정이 있을 때 여러개의 계정의 루트를 각각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
728x90
LIST
'server·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L인증서 PEM과 PFX파일의 특징과 차이점 (0) | 2023.12.14 |
---|---|
linux서버 tomcat에서 SSL인증서 적용하기 PKCS12 keystore생성 및 JKS 포맷 (0) | 2023.12.14 |
linux에서 vsftpd설치 및 ftp서버 생성,설정/ 방화벽 열기 (0) | 2023.09.01 |
zmodem설치로 xshell에서 드롭다운하여 파일이동하기 (0) | 2023.09.01 |
[CentOS] 자바8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(0) | 2023.08.17 |
댓글